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줄거리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Venom: Let There Be Carnage)』는 2018년작 『베놈』의 후속작으로, 마블 코믹스의 유명 빌런 ‘카니지’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혼돈과 파괴를 몰고 오는 심비오트 간 대결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전작에서 ‘반영웅’으로 자리매김한 에디 브록과 베놈 콤비는 이번 영화에서 더 깊은 공존과 충돌의 국면에 도달하며, 단순한 히어로 영화 이상의 심리적 내면극을 펼친다. 영화는 에디 브록(톰 하디 분)이 베놈과 함께 살아가는 일상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들은 여전히 음식, 성격, 행동방식 등에서 충돌하고 있지만, 서로를 떠날 수 없는 운명으로 묶여 있다. 한편, 에디는 연쇄살인마 클리터스 캐서디(우디 해럴슨 분)와의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 만남은 단순한 취재를 넘어 비극의 씨앗이 된다. 클리터스는 에디의 손을 물어 피를 삼키게 되고, 그 과정에서 베놈의 일부가 클리터스에게 전이되며 새로운 심비오트 ‘카니지’가 탄생한다. 카니지는 베놈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폭력적인 존재로, 클리터스의 광기와 결합하여 잔혹한 살육을 벌인다. 그는 자신의 연인인 슈리크(나오미 해리스 분)를 감옥에서 탈출시키고, 함께 도시를 파괴하며 복수를 계획한다. 이들은 혼돈과 절멸을 목표로 삼고, 특히 에디와 베놈을 제거하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는다. 에디와 베놈은 초반의 갈등으로 인해 잠시 분리되지만, 클리터스의 위협이 현실화되면서 다시 손을 잡게 된다. 베놈은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존재로서, 에디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며, 에디 역시 베놈 없이는 자신의 존재가 공허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된다. 클라이맥스는 고딕 양식의 성당에서 벌어지는 베놈과 카니지의 대결이다. 이는 단순한 물리적 싸움이 아니라, 절제된 공존과 무한한 파괴라는 두 존재의 철학적 충돌이기도 하다. 베놈은 지능과 인간성으로, 카니지는 본능과 광기로 싸우며, 최종적으로 베놈은 에디의 결단과 함께 카니지를 분리·파괴하는 데 성공한다. 영화는 마지막 장면에서 베놈과 에디가 새로운 여정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주며, 멀티버스의 도입을 암시하는 쿠키 영상으로 마무리된다.
베놈 2의 역사적 배경
『베놈 2』는 소니 픽처스의 스파이더맨 유니버스(SPU)의 중심축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작품이다. 기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와는 독립된 세계관을 구축하면서도, 후속 작품에서 두 세계를 연결할 가능성을 남긴다. 특히 쿠키 영상에서는 톰 홀랜드의 스파이더맨이 등장함으로써, 멀티버스를 통한 연결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베놈은 원래 1980년대 마블 코믹스에서 스파이더맨의 숙적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외계 기생체 심비오트와 인간의 융합이라는 독특한 콘셉트로 큰 인기를 끌었다. 에디 브록은 최초의 베놈 숙주로, 이 캐릭터는 악역에서 시작해 반영웅으로 진화하는 상징적 존재다. 영화판 베놈은 기존의 히어로 문법을 탈피하여, 불완전한 존재 간의 ‘공존’이라는 새로운 테마를 중심으로 재구성되었다. 이번 작품의 핵심 빌런인 ‘카니지’는 코믹스에서 베놈보다 훨씬 잔인하고 비이성적인 존재로 묘사되며, 그의 등장은 베놈의 존재 가치와 한계를 시험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클리터스 캐서디는 살인을 예술로 여기는 사이코패스로, 기존 슈퍼빌런과 달리 인간 내면의 ‘파괴적 욕망’이 형상화된 인물이다. 카니지는 베놈과 대비되며, 사회적 통제에서 벗어난 순수한 혼돈의 상징이다. 감독 앤디 서키스는 이번 작품을 통해 액션과 감정, 그리고 블랙 코미디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하이브리드 스타일을 완성했다. 그는 심비오트 간의 전투를 단순한 CGI의 축제가 아닌, 관계의 은유로 구성하여 인간과 비인간 존재의 윤리적 문제를 탐구한다. 이는 관객으로 하여금 단순히 ‘누가 더 강한가’가 아닌, ‘누가 더 인간적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한다.
총평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는 단순한 액션 블록버스터가 아닌, 심비오트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이중성과 감정의 복잡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에디와 베놈의 관계는 단순한 파트너십이 아니라, ‘내면의 또 다른 나’와의 끊임없는 대화이며, 이는 자아분열적 감정, 억제된 욕망, 사회적 정체성 문제 등 현대인의 심리 구조와 연결된다. 영화는 빠른 속도감, 직선적인 서사 구조, 고딕적 미장센, 그리고 특유의 블랙 유머를 조화롭게 결합시켰다. 특히 베놈과 에디가 쏟아내는 티격태격 대사는 전형적인 히어로물과 달리 유머와 감정을 동시에 전달하며 관객의 몰입을 이끈다. 카니지의 등장은 단순한 빌런 이상의 상징성을 가지며, ‘어둠의 또 다른 이름’이라는 테마를 강화한다. 다소 짧은 러닝타임과 일부 서사적 빈틈이 존재하지만, 『베놈 2』는 그 자체로 ‘혼돈 속의 유머’와 ‘괴물 간의 인간성’을 성공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심비오트 세계관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후속 시리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데 성공한 마블 외전의 대표작이다.